|
고흥
|
전남에 고흥이 있다. 본래 고이(高伊)라는 땅 이름으로 불러왔지만, 직설적인 표현으로 높다는 의미에 부합되는 형국이기도 하다. 고려 충렬왕 때에는 원나라에 공을 세운 통역관을 이곳에서 배출 |
|
|
|
고흥
|
백제 근초고왕 때의 학자. 박사라는 직함을 갖고 《서기》를 편찬하는 등 유학과 관련된 분야에서 활동한 것으로 전해질 뿐, 구체적인 행적은 알 수 없다. 《삼국사기》 〈백제본기〉 근초고왕 30 |
|
|
|
고흥
|
삼국시대 백제의 『서기』를 저술한 학자. [내용] 출생에 관해서는 알 수 없다. 다만, 고씨라는 중국계 성씨를 가진 것으로 미루어 백제에 귀화한 중국인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, 토착인으로서 한화( |
|
|
|
고흥
|
4세기 중엽 백제의 학자ㆍ역사가ㆍ박사(博士). 375년(근초고왕 30) 처음으로 문자(한자)를 써서 백제의 역사 《서기(書記)》를 편찬, 박사의 칭호를 받았다. 뒤에 《백제기(百濟記)》ㆍ《백제신찬》 |
|
|
|
고흥
|
고흥[高興, ?]은 백제 근초고왕 때의 학자로 그의 출생에 관해서는 알 수 없다. 375년 백제 최초의 박사가 되어《서기[書記]》를 편찬하였다.《삼국사기》에 보면《고기[古記]》를 인용하여 “백제 |
|
|
|
고흥군
|
전라남도 남동부에 있는 군. 전라남도 남동부에 돌출한 고흥반도와 206개의 부속 도서(유인도 23개, 무인도 183개)로 이루어져 있으며,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° 05′~127° 40′, 위도상으로는 북위 34° 18 |
|
|
|
고흥
|
백제 근초고왕 때의 학자로 생몰년 미상. 중국적인 성씨를 가진 것으로 미루어 백제에 귀화한 중국인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, 토착인으로서 한화(漢化)하여 고씨(高氏)를 칭하게 된 것으로 보는 견 |
|
|
|
고흥
|
원나라 채주(蔡州) 사람. 자는 공기(功起)다. 힘이 세서 두 개의 석궁(石弓)을 당길 수 있었다. 세조(世祖) 지원(至元) 11년(1274) 황주(黃州)에 이르러 송(宋)나라의 제치사(制置使) 진혁(陳奕)에게 투항 |
|
|
|
고흥
|
13대 근초고왕(近肖古王, 재위 346~375년) 때의 박사(博士). 국사책인 <서기(書記)>를 편찬했다. 백제 개국 이래 처음 이때에 서기를 갖게 된 것이다. |
|
|
|
풍안
|
전라남도 고흥지역의 옛 지명. [내용] 본래 보성군의 식촌부곡(食村部曲)이었는데 고려 충선왕 때이대순(李大順)이 원나라에 들어가 공이 있어 그의 청으로 풍안현으로 승격되었다. 조선 세종 때흥 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