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세 국어 후음 ㅇ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
|
Ph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Korean Laryngeal Sound “ㅇ” 본고는 중세 국어 후음 ㅇ의 음가 및 그 음운 |
|
對應規則을 통한 日本漢字音 指導法 : ㅇ계열을 중심으로
|
Teaching Method of Sino-Japanese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Rules -Focused on Zero Consonant of Sino-Korean- In this study, we ext |
|
|
중세국어 후음 'ㅇ'에 대한 몇 가지 문제
|
Few Issues about Glottal Sound, “ᄋ”, in Middle Korean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lottal sound |
|
|
|
|
15세기 국어 적극적 기능의 ‘ㅇ’ 재고
|
Reconsideration of the Active Function of “ㅇ” in 15th-century Korean 역사적으로 *g>*γ>ɦ 변화가 있었다는 것과 15 |
|
|
국어의 'ㄴ', 'ㅇ' 탈락과 비모음
|
Korean n, ŋ-deletions and Vowel Nasalization 목차
국어의 'ㄴ', 'ㅇ' 탈락과 비모음 / 김남미 1
[목차] 1
1. 머리 |
|